미국 정착 가이드

미국의 다양한 취업 비자에 대해 알아보기 (OPT,H1B,E-2)

먹쓰남 2025. 2. 20. 05:37

미국 정착 가이드 – 미국에서 취업하는 방법 (OPT, H-1B, E-2, 영주권 취업 루트)

미국에서 합법적으로 취업하려면 비자 유형에 따른 취업 가능 여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. 외국인이 미국에서 취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OPT(유학생 실습), H-1B(전문직 취업비자), E-2(투자 비자), E-2 Spouse(배우자 취업 가능), 그리고 영주권(Green Card) 취업 루트가 있다.

이번 글에서는 각 비자의 특징과 취업 가능성, 장단점, 비자 전환 전략까지 정리해보겠다.


1. OPT (Optional Practical Training) – 유학생 실습 근무

📌 OPT란?

  • 미국 대학(학사, 석사, 박사)에서 F-1 비자로 공부한 유학생이 졸업 후 일정 기간 동안 취업할 수 있는 제도
  • 전공과 관련된 직무에서만 근무 가능
  • 신청 후 **EAD(Employment Authorization Document, 노동허가서)**를 받아야 일할 수 있음

📌 OPT 기간

  • 일반 전공: 졸업 후 최대 12개월
  • STEM 전공: 추가 24개월 연장 가능 (총 36개월)

📌 OPT 신청 및 취업 전략

  • 졸업 90일 전부터 신청 가능 – EAD 승인까지 2~3개월 소요될 수 있음
  • 학부생은 졸업 전에 CPT(유급 인턴십)를 활용해 실무 경험 쌓기
  • OPT 종료 전 H-1B 스폰서 기업을 찾거나, E-2, O-1, H-1B, 영주권 등의 다른 비자로 전환 고려

📌 OPT 장점 & 단점


✅ 장점: 비자 신청 없이 유학생 신분에서 취업 가능, STEM 전공자는 최대 3년 근무 가능
❌ 단점: OPT 종료 후 다른 비자로 전환해야 계속 근무 가능


2. H-1B (전문직 취업비자) – 미국 기업 스폰서 필수

📌 H-1B란?

  • 미국 내 기업이 고용주 스폰서가 되어 외국인을 채용하는 취업 비자
  • 전문직(학사 이상 학위 필요)만 지원 가능

📌 H-1B 신청 절차

  • 고용주 스폰서 필수 – 미국 기업이 먼저 H-1B 신청을 해줘야 함
  • H-1B 추첨제(Lottery) – 매년 약 85,000개만 발급 (대학/병원/비영리기관 제외)
  • 당첨 후 비자 승인까지 6개월 소요 가능

📌 H-1B 장점 & 단점


✅ 장점: 취업 후 최대 6년까지 근무 가능, 영주권 신청 가능
❌ 단점: H-1B 추첨 경쟁률이 높아 불확실성 큼

 

📌 H-1B 취업 전략

  • OPT 기간 동안 H-1B 스폰서 기업 찾기
  • STEM OPT 대상자는 H-1B 당첨될 때까지 연장 활용
  • H-1B 비자 지원 가능한 직군(IT, 엔지니어링, 회계 등)으로 취업 준비

3. E-2 (투자 비자) – 사업 운영자 & 직원 취업 가능

📌 E-2란?

  • 미국에 일정 금액 이상 투자한 외국인 또는 그 기업에서 고용된 직원에게 발급되는 비자
  • 한국 국적자는 미국과 조약국 협정 덕분에 E-2 비자 신청 가능

📌 E-2 취업 가능 대상

  • 사업 소유주(Investor) – 직접 사업 운영
  • E-2 기업의 직원(Employee) – 미국 내 E-2 비자로 등록된 한국 기업에서 취업 가능

📌 E-2 장점 & 단점


✅ 장점: 투자 금액이 많지 않아도 신청 가능(보통 $100,000 이상 투자)
❌ 단점: 영주권 전환이 불가능하며, 사업 유지 필수

 

📌 E-2 취업 전략

  • E-2 비자로 미국 내 한인 기업 취업 가능
  • 향후 H-1B, EB-2(취업 영주권) 등으로 전환 고려

4. E-2 Spouse (배우자 취업 가능)

📌 E-2 Spouse란?

  • E-2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는 별도의 노동허가서(EAD) 없이 취업 가능

📌 E-2 Spouse 취업 전략

  • 남편/아내가 E-2 비자를 보유하고 있다면, 배우자는 직종 제한 없이 취업 가능
  • E-2 Spouse는 EAD 신청 없이 근무 가능하므로, 일자리 탐색이 용이

📌 E-2 Spouse 장점 & 단점


✅ 장점: 직종 제한 없이 취업 가능
❌ 단점: 배우자의 E-2 비자 유지가 필요


5. 영주권(Green Card) 취업 루트

미국에서 장기적으로 취업하려면 영주권(Green Card)이 가장 안정적인 옵션이다.

 

📌 취업 영주권(Employment-Based Green Card) 주요 카테고리

  • EB-1 – 고급 인재 (연구원, 교수, 다국적 기업 임원 등)
  • EB-2 – 석사 이상 학위 소지자 또는 특별한 능력 보유자
  • EB-3 – 일반 취업 영주권 (전문직, 비숙련 노동자 포함)

📌 영주권 신청 절차

  1. 취업 스폰서 기업 확보 – 기업이 영주권을 스폰서해야 함
  2. 노동허가서(PERM) 신청 – 외국인 고용이 미국인 일자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 확인
  3. I-140 신청 – 취업 영주권 청원서 제출
  4. I-485 신청 또는 비자 발급 – 영주권 취득 완료

📌 영주권 취업 루트 장점 & 단점


✅ 장점: 영주권 소지자는 미국 내 모든 직업군에서 자유롭게 근무 가능
❌ 단점: 취업 스폰서를 찾기 어려우며, 신청 후 승인까지 2~3년 이상 소요 가능

 

📌 영주권 취업 전략

  • H-1B 소지자는 EB-2, EB-3로 취업 영주권 신청 가능
  • STEM OPT 연장 중 EB-2/EB-3 스폰서 찾기

6. 비자별 취업 루트 비교

비자 유형 취업 가능 여부 스폰서 기간 영주권 전환
OPT 전공 관련 직종 불필요 최대 3년 (STEM) 불가능
H-1B 전문직만 가능 필요 최대 6년 가능
E-2 투자 기업 내 필요 사업 유지 시 가능 불가능
E-2 Spouse 직종 제한 없음 불필요 배우자 유지 시 가능 불가능
영주권 (EB-2/EB-3) 제한 없음 필요 무제한 이미 영주권

결론 – 내게 맞는 취업 비자는?

📌 취업 루트 선택 가이드


단기 취업 → OPT, H-1B
창업 또는 한인 기업 취업 → E-2
장기적으로 미국에서 근무 & 정착 → 취업 영주권(EB-2, EB-3)

 

각자의 상황에 맞는 비자를 선택하고, 장기적인 이민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.